본문 바로가기

CS/모두의 네트워크

(3)
모두의 네트워크(3) 물리계층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UTP, STP)을 일반적으로 랜 케이블이라고 부름 랜 케이블은 다이렉트 케이블, 크로스 케이블이 있음 크로스 케이블은 다이렉트 케이블과 달리 데이터 충돌을 막기위해 송신과 수신 선을 교차한 구조 다이렉트 케이블은 한쪽은 1,2번 송신 3,6번 수신 다른쪽은 1,2번 수신 3,6번 송신 크로스 케이블은 양쪽다 1,2번 수신 3,6번 송신 하지만 교차해서 충돌없이 통신 가능 리피터: 신호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 장비 (리피터) 허브: 포트를 가지고 여러대의 컴퓨터와 통신할수 있는 장비, 전기신호 정형 및 증폭(리피터) 한 포트에서 다른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나머지 포트에도 데이터가 전송됨 -> 보안 문제 발생 -> 더미 허브라고도 함
모두의 네트워크(2) 프로토콜: 통신하기 위한 규약 OSI 모델: 데이터를 응용 계층, 표현 계층, 세션 계층, 전송 계층,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인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서 전송하는 모델 응용 계층: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표현 계층: 데이터 변환 세션 계층: 세션 체결, 통신방식 결정 전송 계층: 신뢰할수 있는 통신 구현 네트워크 계층: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위한 경로 설정 및 논리 주소 결정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주소 결정 물리 계층: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 변환 및 제어 TCP/IP 모델: 데이터를 응용 계층, 전송 계층,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접속 계층인 4개의 계층으로 나누어서 전송하는 모델 캡슐화와 역캡슐화: 캡슐화는 컴퓨터 통신에..
모두의 네트워크(1) 네트워크 구조 네트워크: 두개 이상의 컴퓨터 간의 연결 인터넷: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크워크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 패킷: 컴퓨터 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큰 데이터는 작은 패킷으로 분할) 랜(LAN)과 왠(WAN) 랜(LAN):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왠(WAN): U+ 같은 통신회사인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한 광역 통신 네트워크 랜은 범위가 좁고 속도가 빠르며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낮음 왠은 범위가 넓고 속도가 느리며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음 가정에서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인터넷 공유기를 연결하고 유무선 랜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성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D..